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양도전문세무사
- 상속세
- #양도소득세 #부동산세금 #2025세제변경 #더감세무회계 #증여세 #상속세 #절세전략 #위례세무사 #국세청 #국세청경력24년 #재산전문세무사 #상속전문세무사 #증여전문세무사 #세무사 #강동세무사 #강남세무사 #송파세무사 # #위례세무사추천 #기장대리세무사추천 #위례기장대리 #위례부가세신고세무사 #소득세신고세무사추천 #소득세신고 #부가세신고위례 #송파기장대리 #신고대리
- 소득세
- 불복청구
- 무주택 #거주지요건 #다주택자
- 법인통장개인사용
- 위례세무사
- 국세청경력24년
- 법인통장사용
- 더감세무회계
- 세무상담
- 재산전문
- 증여세
- 양도세
- 더감
- 법인통장
- 상속전문세무사
-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국세청 #24년 #재산전문 #상속전문 #증여전문 #양도전문 #세무사
- 증여전문세무사
- 기장대리
- 재산세과 #양도세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부담부증여 #이자소득 #금융소득 #2천만원 #종합과세 #상속세 #증여세 #세무상담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360)
국세청24년조사국출신.자금출처조사상속증여양도법인조사기장대리

(질문) 2017년에 공시지가 1억 이하 태안군에 위치한 주택을 상속 받았습니다 상속 당시 가액이 1억6천이였던 주택인데 어머니께 2억8천만원에 매도하고자 합니다. 1. 부모가 자식에게 낮은 금액에 부동산 매도 시 거래 가액이 시가의 30프로 or 3억 이하 중 낮은 금액이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의 경우 반대로 높게 매도하는 것이고 지방주택이라 기준시가가 형성되어 있지 얗은데 기준시가를 상속 시점으로 보아 부모에게 매도 시 증여세 문제가 생길지의 여부 2. 2년 내 어머니가 타인에게 2억6천만원에 매도한다면 해당 사항이 문제 없는지의 여부 알고싶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양도전문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1. 부모가 자녀에게 낮은 가액으로 양도..

(질문)안녕하세요현재 부모님이 거중중인 단독주택이 있는데 공시가격은 10억 조금 안되고 실거래가는 올해 비슷한 조건의 거래가 없어서 정확하게 알수없지만 작년 동일한 행정구역내에 비슷한 규모의 주택 거래기준 23억정도에 거래된 기록을 참고하면 될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피상속인이 2명인 경우 배우자포함 3명에서 분할 상속될 경우 개인당 상속세가 어느정도 부과될지와 자녀 2명에게 증여할 경우 각각 증여세가 얼마나 나올지 알고 싶습니다(답변)안녕하세요상속 증여 양도(재산)전문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답변드리겠습니다.상속재산이 단독주택이고 공시가격이 10억원이 넘지 않는다면상속세는 과세되지 않습니다.따라서 배우자 포함 2분의 자녀가 낼 상속세는 없습니다.만일 성인인 2자녀가 공동으..

매년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왜 이렇게 신용카드만 썼는지, 현금영수증은 왜 잘 챙기지 못했는지 등의 후회를 하곤 한다. 연말정산을 3개월 정도 앞두고 있는 이때 중간점검을 통해 미리 대비하면 절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세액공제 내용이 달라진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점검을 통해 연말정산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자. 올해 연금저축,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연금계좌에서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 한도는 200만원 높아졌다.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 등 연금저축은 기존 400만원에서 600만원까지, IRP는 기존 7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확대됐다. 연금저축은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연간 600만원 한도 내에서 총급여 5500만원 이하 기준 최대 16.5%(5500만원 이상은 13.2..

(질문) 작년에 제가 결혼을 하면서 부모님께 1억 5천을 빌려드렸습니다. 이유는 부모님이 살던 집(전세 계약기간 1년남음)에 저랑 남편이 임시로 들어와 살고 부모님이 다른 집을 구해 나가시게 되어서입니다. 전세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 중 1억 5천을 다시 돌려주기로 하셨어요. 그렇게 1년이 지나서 이제 집을 빼고 돈을 돌려받을 시기인데, 갑자기 생각지도 않던 증여세가 급 걱정이 되어 문의드립니다. 단순히 빌려드린 거라 차용증 같은건 안썼고 그대로 돌려주시기로 해서 매월 입금내역 같은것도 없어요. 이 경우 어떻게 되는 건가요? 증여세 관련으로 문제가 될 경우 피할 방법이 있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증여전문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을 분석..

2022년 1월10일 혼인신고후 2024년 1월 5일에 1.3억을 증여받은후 2024년 1월 10엘 이후에 나머지2천을 증여받으면 어떻게되나요? 5천 비과세+1억 추가비과세로 바뀔예정인데 이게 5천비과세 먼저하고 나머지 8천비과세 적용하는건가요 아니면 1억먼저 비과세 하고 나머지5천이 뒤에딸려서 위 내용처럼해도 총 1.5억 다 비과세로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관련법이 국회에서 통과된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립니다. 질문자님처럼 결혼 후 2년 이내에 증여를 받을 경우 기존의 5,000만원 외 추가로 1억원의 공제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01.05 1.3억원을 증여받을 경우 1.3억원 다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초 24.01..

#. A씨 부부는 자녀 교육차원에서 미국으로 이주를 고려하고 있다. 이민을 간다면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최소 10년 이상 현지에서 거주할 생각이다. A씨 부부가 그간 형성해 온 재산은 모두 국내에 있는데 부동산, 주식 등을 출국 전에 전부 정리하고 나가야 하는지 고민이다. 소득세법상 거주자는 국내외 모든 소득에 대해 소득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반면 비거주자는 국내원천소득에 대해서만 납세의무를 진다. 해외 이주 시 통상적으로 거주자에서 비거주자로 전환되기 때문에 출국일이 속한 연도의 국내외 소득에 대해 출국일 전날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 덧붙여 국세징수법상 해외 이주법에 따라 재외동포청장에게 해외이주신고를 할 때 세금 신고, 납부 확인을 위해 납세증명서를 제출하도록 돼 있다...

국토부, 아파트 직거래 906건 기획조사 182건에서 위법의심행위 201건 적발 국세청 경찰 금융위 지자체에 통보 조치 서울의 A(어머니)는 딸 B에게 아파트를 27억 원에 직거래로 매도한 후 잔금일에 전세계약을 맺었다. 보증금은 10억 9000만 원이었다. 국토부는 잔금시기에 맞춰 전세계약을 맺은 점으로 봐서 전세보증금 형태의 편법증여가 의심돼 국세청에 통보했다. 또 서울의 한 부부는 아파트를 부부공동명의로 소유중인데 각각 지분이 13억 6000만 원이었다. 그런데 남편이 보유지분 전부를 아내에게 매도했다. 국토부는 자금출처 등 자료를 요청했음에도 제출하지 않는 등 부부간 증여한도(6억원)를 초과한 불법증여가 의심돼 국세청에 통보했다. 국토교통부는 이처럼 공인중개사를 통하지 않고 직거래 방식..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거나, 막 시작한 사장님들은 사업 운영 외에도 고민되는 것이 세금입니다. 세금 낼 일이 뭐가 있는지, 어떤 세금을 내야 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개인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세금 3가지를 알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① 부가가치세 첫 번째는 부가가치세입니다. 부가세는 사장님이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금액에 미리 더해 받는 세금이죠. 소비자에게 미리 받은 부가세는 부가세 신고 기간에 금액을 신고하고 국가에 반환해야 합니다. 부가세를 신고하는 사업자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뉘는데요. 연매출 8000만원 이상이면 일반과세자, 8000만원 미만이면 간이과세자에 해당합니다. 부가세는 매출세액에서 사장님이 물건을 살 때 지출한 매입세액을 빼고 계산합니다. 따라서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