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양도전문세무사
- 상속전문세무사
- 상속세
- 기장대리
- 더감세무회계
- 법인통장
- 소득세
-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국세청 #24년 #재산전문 #상속전문 #증여전문 #양도전문 #세무사
- #양도소득세 #부동산세금 #2025세제변경 #더감세무회계 #증여세 #상속세 #절세전략 #위례세무사 #국세청 #국세청경력24년 #재산전문세무사 #상속전문세무사 #증여전문세무사 #세무사 #강동세무사 #강남세무사 #송파세무사 # #위례세무사추천 #기장대리세무사추천 #위례기장대리 #위례부가세신고세무사 #소득세신고세무사추천 #소득세신고 #부가세신고위례 #송파기장대리 #신고대리
- 위례세무사
- 무주택 #거주지요건 #다주택자
- 더감
- 세무상담
- 재산전문
- 국세청경력24년
- 불복청구
- 법인통장개인사용
- 법인통장사용
- 양도세
- 증여세
- 재산세과 #양도세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부담부증여 #이자소득 #금융소득 #2천만원 #종합과세 #상속세 #증여세 #세무상담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 증여전문세무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345)
국세청24년조사국출신.자금출처조사상속증여양도법인조사기장대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c8oM/btsrSK3OmpO/bNTGLENv6LXuH7AmDKIVY0/img.jpg)
(질문) -내용- 1.아버지의 아파트 및 현금을 상속받을 예정입니다. 아파트는 아들에게 현금은 어머니에게 각각 상속 예정이며, 총 발생되는 상속세 문의를 드립니다. -상속 내역- 1.아파트 : 571,650,000 (아들에게 상속) 2.현금 : 650,000,000 (어머니에게 상속) 3.10년간 타인 증여금액 : 90,000,000 -문의 내용- 1.총 납부할 상속세는 얼마인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대략 상속세는 300여만원으로 계산됩니다. 이렇게 계산되는 이유는 배우자공제 6.5억원, 일괄공제 5억원, 금융재산공제 1.3억원 등을 적용한 결과입니다. 더 많은 자료가 있다면 세액은 더 줄어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LApo/btsrDC6kHie/g9PpL0mc6ymwjkEkt34n3K/img.jpg)
행안부 '2023년 지방세입 관계법률 개정안' 발표 '유턴 기업' 취득세 50%·재산세 75% 감면 주택 실수요자인 1주택자의 재산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과표구간별 세율을 0.05%포인트씩 인하하는 '공시가격 9억원 이하 1주택에 대한 세율 특례'가 2026년까지 연장된다. 출산 자녀와 함께 거주할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취득세를 500만원 한도 내에서 100% 면제한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열린 제2차 지방세발전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지방세입 관계법률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은 제도개선 토론회, 지방세발전위원회, 지방세 감면 통합심사 등 자치단체 및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마련됐다. 18일부터 한달간 입법예고를 한 후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의결 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yUw1/btsrR3aAZ1r/19Xo59CgPx6HbHTpt1rGG0/img.jpg)
(질문) 1.내용 : 1)23년 아파트 매도 금액 : 총 1,545,000,000에서 63%인 973,350,000억 매도함. 2)08년 아파트 매수 금액 : 400,000,000 3)08년 아파트 매수시 기타 금액 : 40,000,000 4)아파트 거주기간 : 15년 5)아파트 매도 지분 : 63% 2.문의 내용 : 1)상기 내용으로 아파트 지분 63%매도시 발생되는 양도소득세는 얼마인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매도금액 15억 4,500만원 매수금액 4억원 기타비용 4,000만원 양도차익 11억 500만원 장기보유 3억 3,150만원 양도소득 7억 7,350만원 여기까지가 100% 지분일 경우이고 63%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me4p/btsrDHzLcp7/ysAKM2pLnwufDHICc84SKk/img.jpg)
(질문) 제가 올해 근로소득 4000만원 정도에 사업소득 1600 정도가 예상 됩니다. 그런데 근로소득세는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예정인데 이렇게 되면 종합소득세율이 어떻게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청년취업자의 경우 그 소득세의 90%를 감면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산출세액이 만일 560만원이라면 근로소득관련 소득세는 560만원 * 4,000만원/5,600만원 = 400만원이고 감면세액은 400만원 * 90% = 360만원입니다. 따라서 납부할 세액은 560만원 - 360만원 = 200만원이 됩니다. 참고로 이러한 감면은 세액감면이므로 소득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더감세무회계 03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9ABC/btsrxO7Kz1S/WL6lcj2QDD96YlSCGEEzmk/img.jpg)
(질문) 2015년 아파트 1채를 구입 하였으며, 2020년 12월 아파트 당첨이 되어 2023년 12월 ( 금년) 입주입니다. 1) 첫번째 문의 사항 올해 초에 이와 같은 경우, 기존 아파트를 신규 아파트 취득 (등기)후 2년 이내에 처분시 1가구 1주택 적용되어 양도세 면제가 된다고 정부 발표가 나왔다는데 맞는지요 ? ( 기존 아파트는 현 시세 4억 정도 입니다 ) 2) 2번째 문의 사항. 신규 아파트는 입주후 2년 이후 판매하면 ( 혹은 기존 아파트 판매후 2년 이후) 판매시 비거주 ( 현재 비조정지역 : 거주 요건이 폐지 됐다고...) 했더라도 1가구 1주택 적용 받아 양도세가 12억 까지는 ( 11억 ?) 면세된다고 들었는데 맞는지요 ? 신규 아파트는 기존 주택의 매도 시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Y56m/btsrgrxL24q/pFjHYrte8HDusb2TjyaOq1/img.jpg)
(질문) 지인과 금전 거래를 했는데 1000만원 받고 200만원씩 3개월 정도 받아서 총 1600을 받았습니다. 1600만원을 받은후 4개월 후에 다시 돌려주려고 하는데 혹시 제가 지인한테 1600을 돌려주더라도 제가 받은 1600에 증여세가 붙는건가요? 돈을 이미 다 받은 상태에서 차용증을 쓰고 내용증명 까지 해야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1600 그대로 다 보내줘도 되는건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빌린 돈을 지인에게 다시 돌려주더라도 증여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증여받은 사실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용증도 내용증명도 불필요합니다. 빌린 돈 1,600만원을 송금해도 아무런 불이익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더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jaHF/btsq5YiJTph/r1SknmVtWHkciybFIyXdQ1/img.jpg)
(질문) 증여세를 내지 않고 최대 증여하는 방법으로 0세에 2천만원, 10세에 2천만원, 20세에 5천만원을 증여하는게 좋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서 알고 있습니다. 그 사이 증여를 해줄 여력이 없었기에 한번도 증여를 못해주었는데 자녀가 18세가 되었습니다. 이제 증여를 좀 해주려고 합니다. 질문드립니다. 지금 아이에게 2천만원을 증여해주고 증여신고를 하면 증여세가 면세될텐데, 아이가 20세가 되어 증여한도가 5천만원이 되면 그 때 추가로 3천만원 증여하고 증여신고를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10년을 기다리고 아이가 28세가 되어서야 5천만원을 증여할 수 있나요? 28세가 되어서야 증여할 수 있다면 2년 기다렸다가 5천만원을 증여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안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4aW8b/btsq5bJmS97/Nifs7a9p9WIeU1gurkrMHk/img.jpg)
(질문) 제조업,매출 30~50억정도 기준 산정 방법 궁굼합니다... 그리고 접대비 한도가 있나요? 저희가 600~800정도 쓰는건데 적당한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법인세는 법인의 소득을 기준으로 과세합니다. 예를들어 제조업 매출액이 50억원이라면 여기에 들어가는 원재료비, 인건비, 기타 경비등이 소요되고 이러한 비용이 45억원이라면 법인의 소득은 5억원이 됩니다. 이러한 소득이 2억원까지는 9%의 세율로 과세하고 2억원 초과 200억까지는 19%의 세율을 적용하여 법인세가 결정됩니다. 접대비는 법인의 수입금액으로 결정됩니다. 기본공제 1,200만원에 수입금액 100억원까지 0.3% 수입금액 500억원까지 0.2%를 적용합니다.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