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더감
- 양도세
- 세무상담
- 법인통장사용
- 상속전문세무사
- 상속세
- 불복청구
- 국세청경력24년
- 증여전문세무사
- 더감세무회계
- #양도소득세 #부동산세금 #2025세제변경 #더감세무회계 #증여세 #상속세 #절세전략 #위례세무사 #국세청 #국세청경력24년 #재산전문세무사 #상속전문세무사 #증여전문세무사 #세무사 #강동세무사 #강남세무사 #송파세무사 # #위례세무사추천 #기장대리세무사추천 #위례기장대리 #위례부가세신고세무사 #소득세신고세무사추천 #소득세신고 #부가세신고위례 #송파기장대리 #신고대리
- 법인통장개인사용
- 소득세
- 위례세무사
- 재산세과 #양도세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부담부증여 #이자소득 #금융소득 #2천만원 #종합과세 #상속세 #증여세 #세무상담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 증여세
- 양도전문세무사
- 법인통장
- 무주택 #거주지요건 #다주택자
- 재산전문
-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국세청 #24년 #재산전문 #상속전문 #증여전문 #양도전문 #세무사
- 기장대리
- Today
- Total
국세청24년조사국출신.자금출처조사상속증여양도법인조사기장대리
(절세) 분양권을 취득하게 되면 일시적2주택 양도세 비과세 주의해야 본문

분양권은 2021.1.1. 이후 공급계약, 매매 또는 증여 등으로 취득한 분부터 1세대1주택 양도세 비과세 적용시 주택수에 포함합니다.
따라서 2021.1.1. 이후 양도분부터 1세대가 주택(주택 부수토지를 포함)과 분양권을 보유하다가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1세대1주택비과세 규정을 적용받지 못할 수도 있게 되는 것입니다.
기존(2020.12.31. 이전)에 분양권을 갖고 있는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분양권(입주권 제외)의 취득시기는 잔금일과 준공일중 나중에 도래한 날이 취득시기입니다.
구주택이 있는 상태에서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잔금청산일(또는 준공일)일로부터 3년이내에 구주택을 양도한 경우 일시적 2주택 양도세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이때 ‘분양권이 주택이 되는 시기’는 구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이 경과된 후여야 합니다.
분양권을 추가로 취득한 사람은 기존주택을 언제까지 매도해야 비과세가 적용될까요?
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분양권 취득후 3년이내 주택을 양도해야만 1세대1주택 양도세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때 원칙적으로 주택을 취득한날부터 1년이상이 지난후 분양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분양권을 취득한 후 3년이 지나면 비과세를 적용받지 못할까요?
실거주목적으로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1세대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분양권에 따라 취득하는 주택이 완성된 후 3년 이내에 그 주택으로 세대전원이 이사하여 1년이상 계속하여 거주할 것
② 분양권에 따라 취득하는 주택이 완성되기 전 또는 완성된 후 3년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할 것
③ 1세대1주택 보유자가 그 주택을 양도하기 전 분양권을 취득할 것
④ 양도하는 종전주택은 보유기간(2년)과 조정대상지역 공고후 취득시 거주기간 요건(2년)을 충족할 것
⑤ 2022.2.15.이후 취득하는 분양권부터는 종전주택 취득후 1년이상이 지난 후에 분양권을 취득할 것
분양권을 먼저 취득하고, 일반주택을 나중에 취득한 경우에는 어떻게 적용될까요?
2021.1.1.이후 취득한 분양권이 있고, 일반주택을 나중에 취득하 경우에는 일시적2주택 비과세특례 등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서면-2023-부동산-0225, 2023.03.13.).
결국 2021.1.1.이후 취득한 분양권의 비과세방식은 반드시 주택(선취득) + 분양권(후취득) 비과세 특례만이 인정됩니다.
유사한 사례를 보면, 2020.12.31. 이전 취득한 분양권과 2021.1.1.이후 취득한 분양권의 경우에도 일시적2주택 비과세특례 등을 적용받을 수 없으며(서면-2022-부동산-0329, 2022.12.13.),
2021.1.1.이후 취득한 분양권이 2개 있을 경우에도 일시적2주택 비과세특례 등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181, 2022.09.20.).
분양권이 중과적용시 주택수 계산에 영향을 미칠까요?
2021.1.1.이후 양도하는 분부터는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내 주택 양도시 양도소득세 중과를 위한 주택수 계산에 분양권을 포함하여 계산하도록 개정되었으며, 적용대상 분양권은 2021.1.1. 이후 공급계약, 매매 또는 증여 등으로 취득한 분부터 적용됩니다.
출처 : 세정일보 [세정일보] 세정일보(https://www.sejungilbo.com)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세무사는 국세청에서 24년을 한결같이 상속.증여.양도에 관한 조사와 자금출처등의 일을 하였습니다. 근무하며 얻은 현장실무 경력을 바탕으로 고객님께서 해결하지 못한 재산상속,증여, 양도등의 어려운 일들, 세금조사및 조세불복 등 어려운 일들을 상담및 해결해 드리고 있으니 언제든 전화 또는 내방해 주시면 최선의 방법과 결과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 031-8023-9440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의 경력
· (전)국세청 24년 근무
· 현재 더감 세무회계 대표세무사
· 서울지방국세청 조사3국 (상속,자금출처, 주식변동,법인조사)
· 강남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역삼세무서 재산조사반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서초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성북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용산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송파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동대문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중랑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세금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지방세제 개편안 발표 (0) | 2023.09.06 |
---|---|
10월부터 주거로 쓰면 이행강제금…'생숙 대란' 코앞 (0) | 2023.09.04 |
함부로 사업자 등록 명의를 빌려주면 안되는 이유 (0) | 2023.09.01 |
단시간근로자의 연차휴가 (0) | 2023.08.23 |
대법 "부모 사망해 받은 즉시연금보험금 상속재산 아냐"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