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소득세
- 재산전문
- 더감세무회계
- 법인통장사용
- 재산세과 #양도세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부담부증여 #이자소득 #금융소득 #2천만원 #종합과세 #상속세 #증여세 #세무상담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국세청 #24년 #재산전문 #상속전문 #증여전문 #양도전문 #세무사
- 양도세
- 세무상담
- 기장대리
- 증여전문세무사
- 양도전문세무사
- 상속세
- 무주택 #거주지요건 #다주택자
- 증여세
- 법인통장개인사용
- 위례세무사
- 국세청경력24년
- 더감
- 상속전문세무사
- #양도소득세 #부동산세금 #2025세제변경 #더감세무회계 #증여세 #상속세 #절세전략 #위례세무사 #국세청 #국세청경력24년 #재산전문세무사 #상속전문세무사 #증여전문세무사 #세무사 #강동세무사 #강남세무사 #송파세무사 # #위례세무사추천 #기장대리세무사추천 #위례기장대리 #위례부가세신고세무사 #소득세신고세무사추천 #소득세신고 #부가세신고위례 #송파기장대리 #신고대리
- 법인통장
- 불복청구
- Today
- Total
더감세무회계
재건축 사업 진행 단계별 알아야 할 세금 포인트출처 본문
![](https://blog.kakaocdn.net/dn/OW8xf/btsB7kVzV3a/cH1PkfgIIim4In5UVHTYVk/img.jpg)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은 사업의 진행절차가 진전될 때마다 여러 종류의 세목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관리처분계획인가는 주택 및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할 때 양도소득세에 영향을 주고, 종전주택(건축물) 멸실은 조합원의 보유세(종전주택의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와 승계조합원의 취득세에 영향을 주며, 신축주택 준공인가는 조합원의 보유세(신축주택의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에 영향을 준다.
1. 관리처분계획인가의 세금 포인트
소득세법에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관리처분계획인가로 인하여 취득한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조합원입주권’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원조합원으로부터 승계조합원이 취득한 것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관리처분계획인가 시점에 종전주택(부동산)에서 권리(조합원입주권)로 변환되기 때문에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에 양도하는 경우에는 종전주택(부동산)의 멸실 여부에 관계없이 조합원입주권(권리)를 양도하는 것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과세한다.
종전주택을 소유하고 있던 원조합원이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에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할 때는 관리처분계획인가 전(前)과 후(後)의 양도차익을 각각 계산한 후 관리처분계획인가 전(前)의 양도차익에 대해서만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한다. 따라서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에 가격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2. 종전주택(건축물) 멸실의 세금 포인트
지방세법과 종합부동산세법에 따라 매년 6월 1일 현재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자에게 주택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부과·고지한다. 따라서 종전주택(건축물)의 멸실 시점이 6월 1일 전(前)인지 후(後)인지에 따라서 조합원의 당해 연도 보유세가 달라지는데, 6월 1일 전(前)에 건축물을 멸실한다면 조합원은 종전주택에 대하여 당해 연도 주택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부담하지 않지만 6월 1일 후(前)에 건축물을 멸실하는 경우라면 종전주택은 조합원의 당해 연도 주택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에 포함된다.
다만, 6월 1일 전(前)에 조합원 소유의 주택을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으로 신탁등기를 완료한 경우에는 해당 주택에 대하여 조합원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신청을 할 수 있다.
지방세법에서는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라도 종전주택(건축물)의 멸실 전(前)에 취득하는 경우라면 주택의 취득으로 보아 취득세를 부과하고, 종전주택(건축물)의 멸실 후(後)에 취득한다면 토지의 취득으로 보아 취득세가 부과된다. 따라서 승계조합원의 입장에서는 주택으로 취득할 때의 취득세와 토지로 취득할 때의 취득세를 비교한 후 유리한 시점으로 매수시기를 고려할 수 있다.
3. 신축주택 준공인가의 세금 포인트
신축주택 준공인가 시점이 6월 1일 전(前)인지 후(後)인지에 따라서 조합원의 당해 연도 보유세가 달라지는데, 6월 1일 전(前)에 신축주택의 준공인가가 된다면 신축주택은 조합원의 당해 연도 주택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에 포함되고, 6월 1일 후(前)에 신축주택 준공인가가 되는 경우라면 조합원은 신축주택에 대하여 당해 연도 주택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부담하지 않는다.
그리고 승계조합원의 경우 신축주택의 취득시기는 조합원입주권을 매입한 때가 아니라 신축주택의 준공일이기 때문에 준공인가 이후에 2년 이상 보유하고, 조정대상지역에 소재한 주택이라면 2년 이상 거주해야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 또한 승계조합원의 신축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액 산정 시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은 신축주택의 준공일부터 양도일까지 기간에 대하여 적용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재건축사업은 사업의 진행절차가 진전될 때마다 여러 종류의 세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건축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주택 또는 조합원입주권의 거래시기를 결정할 때는 재건축사업의 진행과정을 먼저 확인한 후 거래에 따른 세부담을 사전에 검토하여 의사결정을 할 것을 권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2ghbG/btsB7VBaEnW/ix23F5xHAOJNsBG2snJYm1/img.png)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YJ846RUJ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세무사는 국세청에서 24년을 한결같이 상속.증여.양도에 관한 조사와 자금출처등의 일을 하였습니다. 근무하며 얻은 현장실무 경력을 바탕으로 고객님께서 해결하지 못한 재산상속,증여, 양도등의 어려운 일들, 세금조사및 조세불복 등 어려운 일들을 상담및 해결해 드리고 있으니 언제든 전화 또는 내방해 주시면 최선의 방법과 결과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 031-8023-9440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의 경력
· (전)국세청 24년 근무
· 현재 더감 세무회계 대표세무사
· 서울지방국세청 조사3국 (상속,자금출처, 주식변동,법인조사)
· 강남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역삼세무서 재산조사반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서초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성북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용산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송파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동대문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중랑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한양대산업공학과 졸업, LG본사연구개발부근무
▶세무공채시험 7급 수석합격, 세무사 시험 합격, 공인중개사 시험 합격
![](https://blog.kakaocdn.net/dn/bojKCc/btsCc4KST0q/Ud6m6Q1IRf6cDDH1uj2fwk/img.jpg)
'세금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부터 정육점도 '10만원 이상'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0) | 2023.12.19 |
---|---|
감정평가를 통한 재건축조합 법인세 절세 방안 (0) | 2023.12.19 |
부업하는 근로자 50만 시대, 그들을 위한 절세 전략 (2) | 2023.12.18 |
동거주택상속공제, 배우자 배제는 타당하지 않다 (0) | 2023.12.18 |
계부·계모에 부여되는 상속·증여세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