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수령, 국세청은 알고 있다

국세청은 보험금 증여를 어떻게 파악할까?
세법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하거나 명의변경을 하는 경우 금융기관은 국세청에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하는 정보는 ▲보험의 종류 ▲지급보험금액 ▲보험금지급사유 ▲보험계약일 ▲보험사고발생일(중도해지일) ▲보험금수취인 ▲보험계약자 및 명의변경일자 등 보험금(해약환급금 및 중도인출금을 포함) 지급 내용과 명의변경 내용이다.
만약 연금 형태로 나눠 지급받는 경우에는 그 보험료 누적 지급액이 1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지급명세서 제출 대상이 된다. 따라서 가입한지 10년이 지났다고 보험료 수령 사실을 국세청에서 알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일반적인 증여는 계좌이체시점에 증여로 보지만 보험은 그 특성상 보험금 수령시점에 증여로 본다. 또 세무서에서는 보험사고로 지급되거나 만기 수령시, 보험회사로부터 지급명세서를 제공받아 증여여부를 파악한다.
그럼 모든 보험금의 지급시 과세관청에 지급명세서를 제출할까. 일반적으로 보험회사는 보험금(해지환급금 및 중도인출금 포함)을 지급하거나 보험계약의 명의변경이 있을 경우 보험금 지급명세서를 과세관청에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다만 보험금 납입자와 수취인이 동일하고 보험금 지급누계액이 1000만원 미만인 경우엔 해당 보험금 지급에 대해서 보험금을 수령한다 하더라도 과세관청에 지급명세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으니 기억하자.
비과세되는 보험금도 과세관청에 지급명세서를 제출할까? 예를 들어 살펴보자. 계약자와 피보험자, 수익자를 자녀로 입력해 납입액이 1억원인 10년 만기 저축성 보험에 가입했다.
해당 계약을 10년 이상 유지해 수익자가 만기환급금을 받을 때 해당 보험에서 발생하는 보험차익이 비과세되지만 보험차익의 비과세 여부와 상관없이 보험회사는 보험금 지급누계액이 1000만원 이상이면 법 규정에 따라 보험금 지급명세서를 과세관청에 제출해야 한다.
아울러 보험금의 지급이 아닌 약관대출로 대출금이 지급되는 경우에는 지급명세서 제출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점도 기억하자.
※출처: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 moneys@mt.co.kr )>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세무사는 국세청에서 24년을 한결같이 상속.증여.양도에 관한 조사와 자금출처등의 일을 하였습니다. 근무하며 얻은 현장실무 경력을 바탕으로 고객님께서 해결하지 못한 재산상속,증여, 양도등의 어려운 일들, 세금조사및 조세불복 등 어려운 일들을 상담및 해결해 드리고 있으니 언제든 전화 또는 내방해 주시면 최선의 방법과 결과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 031-8023-9440
◆ 더감세무회계 정해경 세무사의 경력
· (전)국세청 24년 근무
· 현재 더감 세무회계 대표세무사
· 서울지방국세청 조사3국 (상속,자금출처, 주식변동,법인조사)
· 강남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역삼세무서 재산조사반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서초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성북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용산세무서 재산팀장(양도세.상속세.증여세 조사실무)
· 송파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동대문 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 중랑세무서(부가세,소득세 실무)
▶한양대산업공학과 졸업, LG본사연구개발부근무
▶세무공채시험 7급 수석합격, 세무사 시험 합격
▶공인중개사 시험 합격, 세무서 재산분야 팀장요원 자격시험 합격

#더감 #더감세무회계 #위례세무사 #국세청 #국세청경력24년 #재산전문세무사 #상속전문세무사 #증여전문세무사 #세무사 #강동세무사 #강남세무사 #송파세무사 # #위례세무사추천 #기장대리세무사추천 #위례기장대리 #위례부가세신고세무사 #소득세신고세무사추천 #소득세신고 #부가세신고위례 #송파기장대리 #신고대리 #보험금수령사실 #보험금증여조사 #국세청지급명세서 #국세청보험금수령사실